오늘은 내가 사용하는 믿을만한 외환 거래소, EBC 플랫폼을 추천하려 한다. 나처럼 안전성을 제일 중요시하는 사람에겐 EBC가 잘 맞을 거라 생각하는데, 왜 EBC가 믿을만한지 오늘 포스팅에 적어보려 한다. (맞다 영업글이다)
1. 플랫폼의 규제 인증
EBC가 안전성이 높다고 자신하는 이유는 그들이 꽤 권위있는 기관들의 규제를 받는다는 사살이다. 규제는 플랫폼의 등록, 영업활동, 운영전반을 감독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는 최후의 방어선이라 할 수 있다.
EBC는 현재 세 가지 주요 규제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 영국 FCA(Financial Conduct Authority): 라이선스 번호 927552
- 호주 ASIC(Australian Securities and Investments Commission): 라이선스 번호 500991
- 케이맨 CIMA(Cayman Islands Monetary Authority): 라이선스 번호 2038223
(라이선스 번호는 EBC 공홈에 적혀있는 것을 기제했다. )

① 영국 FCA 규제
영국 FCA는 4개의 주요 분류와 7가지 라이선스를 보유한 규제 기관으로, 이 중 MM(Market Maker)과 STP(Straight Through Processing) 라이선스만이 완전 규제 라이선스로 간주된다. EBC 플랫폼이 FCA의 정식 규제를 받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단계를 거쳤다.
1) FCA 공식 웹사이트에 등록 번호 ‘927552’를 입력했을 때, 위험 경고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는 유효한 규제 상태임을 의미한다.
2) 등록 상태(Firm Status)가 반드시 ‘Authorised(인가)’와 ‘Regulated(규제)’로 표시되어야 한다.
3) 제한 조건(Restrictions)에서 "This firm can hold and can control client money"라는 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투자 자문 라이선스와 같은 부분 규제를 배제하고, 완전 규제 상태임을 확인하는 단계다.



이 세 단계를 통해 EBC가 FCA의 완전 규제 플랫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호주 ASIC 라이선스
ASIC의 경우, ABN, ACN, AFSL 세 가지로 나뉘며, 이 중 **AFSL(Australian Financial Services License)**만이 금융 자격을 가진 규제 라이선스다.


EBC의 등록 번호 ‘500991’은 AFSL 번호 형식에 부합하며, ASIC의 공식 등록 사이트에서 등록 번호를 검색해 해당 라이선스가 유효함을 확인했다.
③ 케이맨 CIMA 라이선스
CIMA의 규제 여부는 CIMA 공식 웹사이트에서 EBC를 검색한 결과, 등록 번호와 회사 이름이 일치하며 상태(Status)가 정상임을 통해 확인했다.


위 세 가지 검증을 종합해 볼 때, EBC Financial Group은 영국 FCA와 호주 ASIC, 케이맨 CIMA의 규제를 모두 준수하는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임이 입증된다.
2. 자금 예치 은행
플랫폼의 자금 예치 은행이 어디인지도 거래소를 선택할 때 살펴봐야 하는 요소다. 규제 인증은 플랫폼 신뢰성을 인증하는 보험이라면, 예치 은행 일치성은 규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보장이다. 만약 입금 계좌와 자금 예치 계좌가 불일치한다면 규제 기관도 투자자의 자금을 제대로 감독할 수 없기 때문에, 플랫폼이 자금을 임의로 사용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자금 예치 은행을 확인할 땐 두 가지를 유의해야 한다.
- 은행의 신뢰도와 안전 등급
- 입금 계좌와 자금 예치 계좌 일치 여부
1) 은행 신뢰도와 안전 등급
플랫폼이 사용하는 은행으론 AAA 안전 등급을 가진 글로벌 은행이 가장 이상적이다. 애초에 은행 자체가 신뢰도가 낮으면 예치하기에도 불안하지 않은가. 2023년 실리콘밸리 은행이랑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가 유동성 위기로 파산한 사례를 생각하면 더더욱 말이다. 특히나 크레디트스위스는 스위스에서도 두번째로 큰 은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파산을 면치 못했다. 만약 예치 은행이 파산하면 내 자금의 안전도 보장하기 어려운 건 불보듯 뻔한 일이다.
그래서 EBC 예치 은행은 어디냐, 바로 영국 바클레이 은행이다. AAA 등급 글로벌 은행이고 금융 안전성과 신뢰성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이 또한 EBC 공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계좌 일치 여부
입금 계좌와 자금 예치 계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건 전신 송금이다. 전신 송금은 계좌 정보가 명확히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계좌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EBC가 공개한 바클레이 은행 자금 예치 계좌 정보를 확인한다. 이 정보는 각종 규제 기관의 감독을 받기 때문에 조작하기도 힘들다. 그리고 실제로 EBC에서 준 전신 송금 방식을 사용해 입금을 한 후 입금 계좌와 자금 예치 계좌를 비교해 보면, 두 계좌가 일치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EBC에선 자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다.

3. 거래 도구 소프트웨어
거래소에서 가장 중요한 간 무엇인가, 바로 ‘거래’다. 거래를 할 때 연결이 끊기거나 슬리피지, 즉 체결이 지연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안정적인 거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그 거래소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EBC는 MT4를 사용하는데, 꽤나 유명한 거래 소프트웨어인 만큼 성증 얘기 보단 우선 정품 여부를 확인해 보겠다.
1) 소프트웨어 정보
MT4 소프트웨어가 정품인지 보려면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한다.
ü 소프트웨어 내 표시된 시간, 로고 회사명이 정확히 일치하는지
ü 프로그램 내 제공된 링크 중 특히 마지막 링크가 MetaQuotes(메타쿼츠) 공식 웹사이트로 연결되는지. 이건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해서 위조하기 어렵다.
EBC MT4에선 이 모든 정보가 올바르게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 데이터 센터(DC) 수량
정품 소프트웨어의 또 다른 특징은 데이터 센터의 수량이다. 보통 정품 소프트웨어는 최소 3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데이터 센터가 적을 경우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
EBC MT4의 오른쪽 하단에서 데이터 센터 수를 확인할 수 있는데, 결과 약 30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가 활성화 되어 있었다. 이정도면 기술 사양은 충분하다.

3) 타 플랫폼 서버 검색 기능 여부
MT4 소프트웨어는 앞서 말한 메타쿼츠에서 개발되었는데, MT4를 사용하는 모든 플랫폼의 서버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의 서버를 검색할 수 있다면 이건 정품 소프트웨어로 보면 된다. EBC MT4에서 타 플랫폼 서버명을 입력하여 검색하니 해당 서버 정보와 핑값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즉 EBC MT4는 정품 소프트웨어로서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거다.

4. 입출금 처리
마지막으로 얘기할 부분은 입출금 처리이다. 이건 플랫폼이 합법적인지 안전한지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다. 어떤 곳은 온갖 이유를 들며 출금을 제한하거나 지연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수익 실현이 좀 힘들어진다.
내 경험상 EBC 입출금은 무척 빠른 편이다. 기본적으로 입금엔 10분 정도가 걸리고 출금은 2시간 정도 걸린다. 다만 은행 처리 시간으로 늦어질 걸 고려하면 출금 신청은 평일 오후 4시 전에 끝내두는 게 좋다.
이상 내가 EBC를 애용하는 이유를 써보았다. 적어도 안전성 방면에서 EBC는 글로벌 거래소 중 손에 꼽을 수준으로 믿을만한 거래소라고 본다. 나와 비슷하게 안전주의자라면 EBC를 한 번 사용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